통합검색

경영정보

사람과 환경 중심의 경영 PANTECH

유해물질관리

유해물질 사용을 금지하고
친환경 공급망 관리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팬택은 협력사로부터의 모든 부품 및 원자재, 포장재 등에 대한 유해물질 사용을 금지하고 친환경 제품설계 및 생산 활동을 정착하고자 친환경 공급망 관리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상호간 상생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1. 팬택과 협력회사는 환경경영 및 유해물질 관리 능력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2. 제품과 부품에 관련된 유해물질정보의 종합적 관리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3. 제품 및 부품 환경 규제에 적극 대응할 수 있습니다.
  4. 친환경 부품 및 제품을 지속적으로 기대할 수 있습니다.
또한 부품환경신뢰성 평가 시스템을 도입하여 모든 부품 및 원자재, 포장재 등에 포함되는 유해물질이 최대 허용농도기준 이상으로 사용되는 것을 금지하고 이를 통해 최대 허용농도
기준이하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유해물질 위험도에 따른 항목별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LEVEL 1 사용금지물질 및 함유량 규제물질

상세기준표
물질(SUBSTANCE/MATERIAL) 관리기준(PRM) 규제법규
납 및 그 화합물 800
  • EU RoHS Directive
  • EU Packing Directive
  • EU Battery Directive
  • OSPAR Priority Chemicals
  • US Califonia Proposition 65
카드뮴 및 그 화합물 80
  • EU RoHS Directive
  • EU Packing Directive
  • EU Battery Directive
  • OSPAR Priority Chemicals
수은 및 그 화합물 800
  • EU RoHS Directive
  • EU Packing Directive
  • EU Battery Directive
  • OSPAR Priority Chemicals
6가 크롬 및 그 화합물 800
  • EU RoHS Directive
  • EU Packing Directive
  • OSPAR Priority Chemicals
PBBs (Polybrominated biphenyls) 800
  • EU RoHS Directive
  • OSPAR Priority Chemicals
PBDEs (Polybrominated diphenylethers) 800
  • EU RoHS Directive
  • EU Packing Directive

LEVEL 2 사용금지물질

상세기준표
물질(SUBSTANCE/MATERIAL) 규제법규
PCBs (Polychlorinated biphenyls)
  • EU Directive 76/769/EEC
  • OSPAR Priority Chemicals
  • EU Battery Directive
  • OSPAR Priority Chemicals
  • US Califonia Proposition 65
PCNs (Polychlorinated naphthalenes with three or more chlorine susstituents)
PCTs (Polychlorinated terphenyls)
  • EU Directive 76/769/EEC
석면
  • EU Directive 76/769/EEC
유가 주석계 화합물
  • EU Directive 76/769/EEC
  • OSPAR Priority Chemicals
포름알데히드
  • German Regulations
  • US CA, Code of Regulation section, 93120
니켈 화합물
  • EU Directive 94/27/EC
비소 화합물
  • EU Directive 76/769/EEC
아조계 화합물
  • EU Directive 2002/61/EC
단쇄염화파라핀
  • EU Directive 76/769/EEC
  • OSPAR Priority Chemicals
아조계 화합물
  • Montreal protocol
  • EU Regulation 2037/2000
탄화 플루오르 옥탄술폰 (PFOS)
  • EU Directive 76/769/EEC

LEVEL 3 사용저감물질

상세기준표
구분 물질(SUBSTANCE/MATERIAL)
감시 및 삭감물질
  • 염화비닐수지
  • 프탈레이트 (Phthalates)
  • 베릴륨 및 그 화합물
  • 안티몬 및 그 화합물
  • 셀레늄 및 그 화합물
  • 팔라듐 및 그 화합물
  • 비스무스 및 그 화합물
  • 기타 염소계 난연제
  • 기타 브롬계 난연제
  • 퍼플루오옥탄산염 (PFOA)

환경경영체제 인증 현황 (ISO 14001)

팬택은 당사로 들어오는 협력회사의 모든 입고부품, 신규부품에 대해서는 효과적인 유해물질 관리와 친환경 제품을 사업자 및 고객에게 공급하기 위해서 자체검증체계를 구축하였습니다. 녹색구매시스템을 통해 부품의 유해물질 정보를 입력하고 당사의 환경정책을 따른다 하더라도 실제로 당사의 관리기준을 만족하는지 검증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에 팬택은 자체검증체계 및 LAB 시설을 확립하여 당사 제품에 사용되는 모든 부품에 대해 지속적으로 유해성검증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부품(입고/신규) - 유해물질분석(협력회사 부품개선) - 제품출하
분석실 장면
환경규제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하고자 유해물질 분석실을 운영하고 있으며 제품이 출시되기 이전부터 철저한 분석을 통해 유해물질을 함유하지 않은 제품을 출시하고 있습니다.
분석실에서 담당하고 있는 업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IEC 규격에 따른 분석 시험 방법 적용
  2. XRF, ICP, GC/MS. UV-VIS 등 정밀 분석장비를 이용한 유해물질 함유 여부 검증
  3. 원/부자재 유해물질 정밀분석, 개발모델 유해물질 분석
  4. 양산 입고품 유해물질 분석